컴퓨터 32비트 64비트 차이, 뜻 윈도우에서 비트 확인하는 법
윈도우에서 프로그램을 설치할 경우 설치 파일이 64비트용, 32비트용으로 나누어져 있어서 컴퓨터 비트 확인을 해야할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이 '비트'라는 것이 뭔지 궁금하기도 하고, 요즘 컴퓨터는 거의 다 64비트이지만 컴퓨터가 예전에 나온 컴퓨터의 경우 32비트 일지, 64비트 일지 헷갈리기도 합니다. 이 글에서는 이 '비트'가 뭔지 알아보고, 자신의 컴퓨터의 비트가 몇 비트인지 확인하는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비트란
비트는 'Binary Digit'의 약자이며, 데이터를 나타내는 최소 단위입니다. 또한 컴퓨터 용량이나 프로그램 처리능력의 최소 단위로 사용되기도 합니다. 컴퓨터는 이진법 즉 0과 1을 사용하기 때문에 1비트는 0, 1 두 개를 나타낼 수 있으며, 2비트는 2의 2승인 4개를, 32비트는 2의 32승(4,294,967,296), 64비트는 2의 64승(18,446,744,073,709,551,615)을 나타낼 수 있습니다.
2010년대 이후론 거의 모두 64비트를 사용하고 있으며, 현재 32비트 컴퓨터를 찾기가 더 힘듭니다. 32비트 보다 64비트가 처리 가능한 양이 더 많기도 하고 가장 큰 차이점으로는 32비트는 램을 4gb까지 인식할 수 있지만, 64비트는 윈도우10 홈 버전에서는 128gb까지 홈 버전 이외에 버전들은 2tb까지 인식이 가능합니다.
비트 확인하는 법
우선 윈도우에서 컴퓨터의 비트수를 확인하는 법은 매우 많습니다. 이 글에서는 이 중에서 간단한 방법 2가지를 알려드리려 합니다.
첫번째 방법은 'DirectX 진단 도구' 라는 프로그램을 이용하는 것입니다. 우선 윈도우 검색창에 'dxdiag'라고 입력을 하신 후에 나오는 'dxdiag'를 실행해주세요.
'dxdiag'를 실행하면, 'DirectX 진단 도구'라는 창이 뜹니다. '시스템 정보'탭의 '운영 체제'칸에 윈도우 버전과 비트수가 적혀있습니다. 'DirectX 진단 도구' 창에서 컴퓨터 이름, 메인보드 제조업체, 메인보드 모델명, cpu 모델명 등을 확인할 수도 있습니다.
저같은 경우에는 '운영 체제' 칸에 "Windows 10 pro 64비트" 즉 64비트라고 나와있네요.
두 번째 방법으로는, 시스템 정보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컴퓨터의 비트수를 확인하는 것입니다. 윈도우 검색창에 '시스템 정보'라고 입력을 하신 후 '시스템 정보' 프로그램을 실행시켜 주세요.
'시스템 정보' 프로그램을 실행하면 '시스템 정보' 창이 나옵니다. 여기서 '시스템 종류'칸을 통해 몇 비트 기반인지 볼 수 있으며 또한 메인보드 모델명, 회사, cpu 모델명등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X86은 32비트를 뜻하며, X64는 64비트를 뜻합니다.
마치며
지금까지 컴퓨터 비트에 대해서 그리고 32비트와 64비트는 무슨 차인지와 'DirectX 진단 정보', '시스템 정보'를 통해 비트수 확인방법을 알아봤습니다.
현재는 대부분의 컴퓨터의 비트수가 64비트이기 때문에 거의 프로그램 설치하실때 64비트를 클릭해 설치하시면 되는데 오래된 컴퓨터의 경우는 비트수를 확인하시고 설치하시길 추천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