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니터 주사율, 응답속도, IPS, VA, TN 패널 비교
모니터에는 IPS, VA, TN등 다양한 패널이 존재하고, 모니터의 스펙을 나타내는 용어 중에서 주사율, 응답속도등과 같은 용어가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ips, va, tn, ads 등 여러 패널의 대해 알아보고, 응답속도와 주사율이란 게 뭔지 알아보려고 합니다.
LCD 모니터
우선 lcd란 'Liquid Crystal Display'의 약자로, 정의는 '인가전압에 따른 액정 투과도의 변화를 이용하여 각종 장치에서 발생하는 여러 가지 전기적인 정보를 시각정보로 변화시켜 전달하는 전기소자'라고 합니다.
우선 lcd의 구조는 이런 식으로 되어있습니다. 우선 lcd는 oled와 달리 백라이트가 필요한데 예전에는 백라이트로 ccfl(형광등) 이란 것이 주로 쓰였으며 현재는 수명과, 소비전력이 더 좋은 led가 백라이트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이 백라이트가 led인 lcd 모니터를 led모니터라 광고하는 경우도 있어, oled와 같은 모니터와 헷갈리지 않게 주의가 필요합니다.
여기서 액정을 배열하는 방법에 따라 tn, ips, va 등으로 나뉘게 됩니다.
ips
ips는 수평으로 눕힌 액정 분자를 수평방향으로 회전시켜 백라이트 광량을 제어합니다. 액정 분자가 수직 방향으로 회전하지 않기에, 시야각에 따른 색변화가 적습니다.
하지만 수평방향으로 회전시킨다는 특징 때문에 백라이트를 완벽하게 차단하지 못하여 검은색이 완전한 검은색으로 표현이 되지 않아 명암비가 VA에 비해 떨어집니다.
그리고 다른 단점으로는 tn보다 응답속도가 조금 떨어진다는 점이랑, tn이나, va보다 구조가 복잡하다 보니 제조 단가가 조금 높다는 점이 있습니다
PLS, AH-VA, ADS 패널이 이 ips 계열입니다.
va
va는 전압을 주지 않았을 때, 액정 분자가 수직방향으로 배열되며, 최대 전압을 주었을 때 액정 분자가 수평 방향으로 배열됩니다.
전압을 주지 않았을 때 액정 분자가 수직으로 배열되며 백라이트에 빛을 차단하기 때문에 ips, tn이 명암비가 1000:1인 반면, va는 명암비가 3000:1 정도로 높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이 명암비가 높으면 어두운 곳은 더 어둡게, 밝은 곳은 더 밝게 보이게 됩니다.
va의 단점으로는 응답속도가 tn, ips에 비해 느리단 점이 있습니다.
(mva, pva 패널이 이 va 계열입니다.)
tn
tn 전압을 주지 않았을 때 액정 분자가 수평으로 배열되며 백라이트의 빛을 통과시키며, 최대 전압을 줬을 때 액정 분자가 수직방향으로 배열되며 빛을 차단하게 됩니다.
tn의 단점은 시야각이 좁다는 점이 있습니다. 시야각이 좁기 때문에 측면이나 아래, 위에서 보면 정면에서 봤을 때 비해 색이 다르게 보입니다.
그래도 아주 오래된 tn이 아직까지 사용된다는 점은 낮은 가격과, 빠른 응답속도라는 장점이 있습니다.
주사율
최근 144hz 이상을 지원하는 고주사율 게이밍 모니터가 인기가 많습니다. 여기서 주사율은 모니터가 1초에 얼마나 많은 장면을 그릴 수 있는지 나타내는 것이며 이 주사율이 높아질수록 화면을 더 부드럽게 표시할 수 있고, 하드웨어의 자원을 더 많이 사용하게 됩니다.
현재 240hz 정도의 아주 높은 주사율을 가진 모니터도 나오고 있는데, 이런 모니터들은 대부분 tn패널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응답속도
모니터의 응답속도는 주로 od, gtg, mprt을 사용해 표현합니다.
1ms(gtg)는 Grat to Gray의 약자로 밝은 회색에서 어두운 회색으로 전환 시 1ms(1/1000초)가 걸린다는 것이고,
1ms(mprt)는 Motion Picture Responce Time의 약자로 일정 속도로 움직이는 영상에서 잔상이 생겼다가 사라지는 시간이 1ms(1/1000초)가 라는 뜻이며, 1ms(mprt)는 2~4ms(gtg) 정도입니다.
1ms(od)는 모니터를 오버드라이브(오버 클럭) 시켰을 때 1ms(gtg) 정도 된다는 얘기입니다.
마치며
지금까지 ips, va, tn 등 다양한 액정배열 방식과, 주사율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잠깐 정리를 하자면
패널 종류 | IPS | VA | TN |
---|---|---|---|
시야각 | 좋음 | 보통 | 나쁨 |
응답속도 | 보통 | 나쁨 | 좋음 |
명암비 | 보통 | 좋음 | 보통 |
이 정도가 되겠습니다.
일반적인 용도로는 ips를,
사진이나, 동영상을 많이 보신다면 va를
게임을 즐겨하신다면 tn을 추천드립니다.
응답속도는 보통은 신경 안 쓰셔도 되지만, 게이밍 모니터는 5ms(gtg) 이하를 추천드립니다.
그리고 주사율은 일반적인 상황에서 60hz가 무난하나 게임을 하신다면 144hz를 추천드립니다.
관련 글
모니터 회사 비교 및 as기간, 무결점 정책
모니터 회사 비교 및 as기간, 무결점 정책 이 글에서는 모니터 회사들을 소개해드리고, 각 회사들의 as기간과 무결점 정책, as평들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모니터 불량화소 테스트 사이트 LG 다들 알고 계실..
MK
모니터 화면 크기, 비율 및 해상도 비교
모니터 화면 크기, 비율 및 해상도 비교 모니터에는 24인치, 27인치, 32인치 다양한 크기와, 16:9, 21:9, 4:3등의 다양한 화면 비율, FHD, QHD, 4K 등의 다양한 해상도가 존재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이런 다양한..
MK
모니터 IPS, VA, TN 등 패널 종류 비교, 차이 정리
모니터 IPS, VA, TN 등 패널 종류 비교, 차이 정리
모니터 IPS, VA, TN 등 패널 종류 비교, 차이 정리 예전에 '모니터 고르는 법'이라는 글에서 모니터 패널을 잠깐 다루기도 했지만, 더 많은 모니터 패널들을 알아보기 위해 따로 글을 쓰겠습니다. 모니터에는 197..
M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