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영상 용량 줄이기, 자막 합치기 - 무료 샤나 인코더 다운로드 및 사용법
현재 기술이 점점 발달하면서 4K등 영상의 해상도가 점점 올라가면서 동영상의 용량이 커지고 있기도 하고, 애니메이션이나 영화를 다운받아서 저장을 할 때 큰 용량이 부담이 될 경우가 있습니다.
그리고 smi 또는 ass 파일로 된 자막을 영상이랑 합쳐서 저장을 할 경우나, 영상의 확장자를 변경할 경우, 용량이 큰 동영상의 용량을 줄이려 할 경우가 많이 있습니다.
이는 '인코터'라는 프로그램을 통해서 할 수 있는데 이 글에서는 무료로 이용할 수 있고, 인코딩 속도가 매우 빠른 '샤나 인코더'라는 프로그램을 이용해 동영상의 용량을 줄이고, 자막을 동영상이랑 합치는 방법을 알려드리겠습니다.
참고로 다음팟인코더의 경우는 개발이 중단되었고, 카카오인코더의 경우는 이름이 Kakao가 아닌 Cacao이며, 한국교육학술정보원 교육사이버안전부의 공식 발표로 악성 프로그램으로 확인이 되어 사용에 주의 하거나, 사용하지 않아야 합니다.
샤나 인코더 다운로드
샤나인코더 최신 버전
shana.pe.kr
프로그램을 다른데서 다운로드 하면 바이러스가 포함되어 있을 수도 있고, 프로그램이 업데이트 되었을 수 있으므로, 프로그램 다운로드는 공식 홈페이지에서 하시는것을 추천드립니다.
위의 링크를 통해 샤나 인코더 홈페이지로 들어가셔서 '샤나인코더(ShanaEncoder) 5.0.0.4'라고 써져있는 글을 클릭해주세요. 글의 이름은 샤나 인코더의 최신 버전이 나왔을 때 달라질 수도 있습니다.
'샤나인코더(ShanaEncoder) 5.0.0.4'라는 글을 클릭하면, 이런 글로 넘어와지는데, 여기서 개선사항과 바이러스 검사 결과를 확인하실 수 있으며, exe 파일 또는 압축 파일을 통해 설치해줄 수 있습니다.
일반적인 상황이면 '설치 프로그램 다운로드' 글씨 밑 버튼을 클릭해서 다운로드해주시면 되고 인터넷이 안 되는 곳에서 설치를 하시려면 '인터넷이 안 되는 곳에서 설치를 하려면, 설치 프로그램과 아래 파일을 다운로드하세요.' 글씨 밑에 있에 자신 컴퓨터 비트 수에 맞는 버튼을 클릭해 설치하시면 다운로드하시면 됩니다.
설치 프로그램을 다운로드하셨다면, 다운로드하신 폴더로 가셔서 'ShanaEncoder5.0.0.4'라고 쓰여는 샤나 인코더 설치 프로그램을 실행시켜주세요.
샤나인코더 설치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면 'Installer Language'라는 창이 나오며 언어를 설정할 수 있습니다.
기본으로 한국어가 선택되어 있으니 'OK' 버튼을 클릭해주세요.
'OK' 버튼을 클릭하면 '샤나인코더 5.0.0.4 설치를 시작합니다.'라는 창이 나옵니다. 여기서 '다음 >' 버튼을 클릭해주세요.
'다음 >' 버튼을 클릭하면, '사용권 계약'창이 나옵니다. '위 사항에 동의합니다.'을 선택하시고, '다음 >' 버튼을 클릭해주세요.
'다음 >' 버튼을 클릭하면, 또다시 '사용권 계약' 창이 나옵니다. '위 사항에 동의합니다.'에 선택하시고, '다음 >' 버튼을 클릭해주세요.
'다음 >' 버튼을 클릭하면, '구성 요소 선택'이라는 창이 나옵니다. 그냥 모두 선택돼있는 상태로 '다음 >' 버튼을 클릭해주세요.
'다음 >' 버튼을 클릭하면, '설치 위치 선택'이라는 창이 나옵니다. '찾아보기...' 버튼을 클릭하여 샤나인코더의 설치 위치를 지정해줄 수 있습니다.
'설치' 버튼을 클릭해주세요.
'설치' 버튼을 클릭하면, '설치 중'이라는 창이 나오며 설치가 진행됩니다. 설치 완료까지 잠시 기다린 후 '다음 >' 버튼을 클릭해주세요.
그러면 '샤나인코더 5.0.0.4 설치 완료'라는 창이 나옵니다. 이후 샤나인코더 홈페이지를 방문하지 않으실 분은 '샤나인코더 홈페이지 방문하기'를 선택 해제해주세요.
그다음 '마침' 버튼을 클릭해주시면 됩니다.
샤나인코더 사용법
실행 중인 '샤나인코더'의 화면입니다. 좌측 상단의 '파일' 버튼을 클릭해서 '파일 추가' 버튼을 클릭하거나, 아무 빈 공간을 클릭하여 '파일 추가' 버튼을 클릭해 용량을 줄일 영상이나, 자막을 합칠 영상을 선택해줄 수 있습니다.
'test.mkv'라는 영상 파일을 추가한 모습입니다. 저는 같은 폴더에 'test.ass'라는 영상 파일과 같은 이름을 가진 자막이 있어서 자동으로 적용이 됐습니다. '재생시간' 옆 '자막'탭에서 확인이 가능합니다. 자막이 적용이 안되셨다면 자막 이름을 영상 이름과 같게 해주시고 다시 파일을 추가해주시면 됩니다.
그리고 '빠른 설정' 버튼을 클릭해 인코더 설정을 할 수 있습니다.
'빠른 설정'창입니다. '파일 형식'을 클릭해 파일의 확장자를 선택해 줄 수 있습니다. 기본으론 'avi'로 선택되어 있으며, 호환성, 용량 등의 문제로 'mp4'로 설정하실 것을 추천드립니다.
'비디오 코덱'을 클릭하여 코덱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비디오 코델을 H264에서 hevc로 변경을 하면 인코딩 속도는 약간 느려질 수 있으나, 압축률이 증가하여 영상의 용량이 줄어듭니다.
또한 amd 그래픽카드를 사용중이시면 (AMF)를 엔비디아 그래픽카드를 사용 중이시면 (NVENC)를 내장그래픽이 달린 인텔 cpu를 사용 중이시면 (QSV)를 선택해 더 빨리 인코딩할 수 있습니다. 자세한 건 샤나인코더 홈페이지를 참조해주세요.
'비디오 퀄리티'의 숫자는 낮을수록 고화질이라고 합니다. '프레임 레이트 변경, '영상 사이즈 변경'에서 직접 프레임 또는 영상 사이즈를 설정할 수 있으며, 선택 해제해 영상과 똑같게 인코딩 할 수 있습니다. 프레임을 낮추거나, 영상의 사이즈를 작게하면 영상 품질은 떨어지지만, 영상의 용량은 줄어듭니다.
또한 오디오 코덱과 비트레이트도 설정해줄 수 있습니다.
'빠른 설정'의 '영상/자막/ 탭에서는 이런 반전, 회전 효과나 색깔, 영상, 선명도 등을 조절할 수 있으며, 자막에 관한 설정을 할 수 있습니다. '설정 적용'을 눌러야 적용이 됩니다.
설정을 마치시고, '인코딩 시작'을 클릭하시면, 인코딩이 시작됩니다.
중앙 상단에 경과시간과 남은 시간이 표시되며, 우측 하단에 진행 중인 퍼센트가 나타납니다.
'진행 상황'탭에서 현재 진행 위치와 용량을 볼 수 있으며, 인코딩 중인 파일을 더블클릭해 인코딩이 끝나지 않아도 영상을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