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퓨터 온도측정 프로그램 HWMonitor로 cpu, 컴퓨터 온도 확인하기
컴퓨터의 온도가 보통 100도 이상으로 올라가면, 컴퓨터의 손상을 막기 위해 강제로 속도를 낮추거나, 강제로 전원을 꺼서 발열을 줄이는 '스로틀링'이 일어납니다.
인터넷 서칭, 유튜브 시청 등 컴퓨터를 평범하게 사용 중인데 쿨러가 엄청 시끄럽게 돌아간다거나, 게임 실행 중에 갑자기 속도가 느려진다거나 그러면 cpu 또는 그래픽카드에 과열로 인해 쿨러가 빨리 돌아가거나, 위에서 말한 '스로틀링'이 걸려서 속도가 느려져 그런 것입니다.
노트북 같은 경우는 좁은 공간의 부품이 모여있어 발열 관리가 어렵고, cpu, 그래픽카드 등의 온도를 확인해 온도가 너무 높다 싶으면 쿨러 교체, 서멀 구리스 재도포, 쿨러 청소 등의 방법으로 어느 정도 해결할 수 있습니다.
cpu, 그래픽카드 등의 온도는 CPUID라는 회사의 'HWMonitor'이라는 프로그램을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HWMonitor 다운로드
우선 HWMonitor 프로그램을 설치하기 위해 위 사이트로 접속해주세요. HWMonitor 프로그램은 컴퓨터 사양 확인 프로그램으로 유명한 cpu-z 프로그램을 만든 회사가 만든 프로그램이며, 프리웨어로 무료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위 사이트에 접속을 하시면 CPUID사에 HWMonitor 프로그램이 나오는데, 여기의 'CLASSIC VERSIONS' 탭에서 'HWMonitor' 프로그램을 다운할 수 있습니다.
HWMonitor 프로그램의 설치 방법은 exe파일을 통한 설치 방법과, zip 파일을 통한 설치 방법을 지원합니다. 여기선 exe파일을 통한 설치 방법을 통해 설치하겠습니다. 'SETUP • ENGLISH' 버튼을 클릭해주세요.
'SETUP • ENGLISH' 버튼을 클릭하면, 이런 화면으로 넘어와집니다. 여기서 다운로드를 계속 진행해주기 위해 'DOWNLOAD HWMONTIOR' 탭의 'DOWNLOAD NOW!' 버튼을 클릭해주세요.
'DOWNLOAD NOW!' 버튼을 클릭하면, HWMonitor 프로그램의 설치 파일이 다운로드됩니다. 설치 파일이 다운로드 된 후 설치 파일을 실행시키시면 'Select Destination' 창이 나오며, 'Browse...' 버튼을 클릭해 HWMonitor 프로그램의 설치 경로를 설정해줄 수 있습니다.
설치 경로를 설정해 주셨거나, 그냥 기본 경로로 설치하실 거면 'Next >' 버튼을 클릭해주세요.
'Next >' 버튼을 클릭하면, 'Select Start Menu Folder'라는 창이 나옵니다.여기에서 'Browse...' 버튼을 클릭해 시작 메뉴 폴더를 지정해 줄 수 있습니다.
시작 메뉴 폴더를 지정해주셨거나, 그냥 기본으로 하실분은 'Next >' 버튼을 클릭해주세요.
'Next >' 버튼을 클릭하면, 'Select Additional Tasks' 창이 나옵니다. 여기에서 'Create a desktop icon'을 선택하여 바탕화면에 아이콘을 생성해 줄 수 있습니다.
'Next >' 버튼을 클릭해주세요.
'Next >' 버튼을 클릭하면, 'Ready to Install' 창이 나오며, 여기에 지금까지 한 설정들을 나옵니다. 설정을 잘못한 게 있으면 '< Back' 버튼을 클릭해 뒤로 가 다시 설정할 수 있습니다.
설정에 문제가 없으시면 'Install' 버튼을 클릭해주세요.
'Install' 버튼을 클릭하고 잠시 기다린 뒤 프로그램 설치가 성공했으면 'Completing the CPUID HWMonitor Setup Wizard'라는 창이 나옵니다. 'hwm_readme.txt' 텍스트 파일을 볼 필요는 없으므로 선택 해제해줍니다.
이제 프로그램 설치가 끝났으니, 프로그램 실행을 위해 'Finish'버튼을 클릭해주세요.
HWMonitor 실행
HWMonitor 프로그램의 화면입니다. 여기에서 cpu, 그래픽카트, 메인보드 등의 부품의 온도등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Gigabyte Technology Co. Ltd. ...' 탭의 'Temperatures'에선 메인보드의 온도를, 'Fans' 에서 각종 쿨러의 속도를 확인 할 수 있으며, 'Utilization'의 'System Memory'에서 램 사용률을 볼 수 있습니다.
그리고 'Gigabyte Technology Co. Ltd. ...'라 되있는 곳은 메인보드 회사에 따라 다릅니다.
그리고 그 밑에 'AMD Ryzen 5 1600' 이란 탭의 'Volatages'에선 cpu의 전압을, 'Temperatures'에서 cpu의 온도를, 'Powers'에서 사용중인 전원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마찬가지로 'AMD Ryzen 5 1600'이란 곳에 이름은 cpu의 종류마다 다릅니다.
또한 cpu 탭의 'Utilization' cpu의 이용률을, 'Clocks'에서 cpu 클럭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WDC WD10EXEX-08WN4A0', 'ADATA SX7000NP'란 곳에선 저장장치의 온도와, 사용률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저장장치의 개수에 따라 나타나는 개수는 다르며, 저장장치의 모델명의 따라 이름도 다릅니다.
'NVIDIA GeForce GTX 1650 SU..'이란 곳에 'Volatages'에선 그래픽카드에 전압을, 'Temperatures'에선 그래픽카드의 온도를, 'Fans'에선 그래픽카드 쿨러의 속도를 알 수 있습니다. 저같은 경우는 현재 그래픽카드에 온도가 낮은 상태라서 쿨러가 돌아가지 않아 0RPM으로 나옵니다.
'Clocks'에선 그래픽카드 클럭을, 'Utilization'에선 그래픽카드, 메모리 등의 이용률을, 'Performance'에선 각종 정보를 확인 할 수 있습니다.
관련 글
cpu-z 다운로드, 컴퓨터 사양, 바이오스 버전 확인하기(CPU, 램, 그래픽카드 등)
cpu-z 다운로드, 컴퓨터 사양, 바이오스 버전 확인하기(CPU, 램, 그래픽카드 등)
cpu-z 다운로드, 컴퓨터 사양, 바이오스 버전 확인하기(CPU, 램, 그래픽카드 등) 컴퓨터를 자신이 산 게 아니거나, 컴퓨터를 산지 오래되어서 cpu, 램, 그래픽카드, 메인보드 등 부품이 무슨 모델인지 기억이 안..
MK